교육콘텐츠 (79건)

대국민 해양안전교육 자료(구명조끼 종류 등)

​ㅇ 구명조끼  착용법 교육영상(KBS 교양 유튜브)

973

2025-01-03

해양수산부

해양종사자 교육영상(성어기 안전사고)

해양종사자 교육영상(성어기 안전사고) 입니다.

935

2025-01-03

해양수산부

해양종사자 교육영상(충돌사고 주의)

해양종사자 교육영상(충돌사고 주의) 입니다

964

2025-01-03

해양수산부

[포럼] 24년 제7차 정부혁신 미래전략 포럼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개혁과 한국의 대응과제

■ 주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개혁과 한국의 대응 과제■ 일시: 2024.12.19.(목)■ 공동주최: 행정안전부, 한국행정연구원■ 발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개혁과 향후 전망 (김정해 한국행정연구원 행정혁신연구실장)■ 종합토론 : 김선혁 고려대학교 교수(좌장), 황명석 행정안전부 정부혁신국장, 송의달 조선일보 칼럼리스트, 서정건 경희대학교 교수, 이정욱 연세대학교 교수17:30 개회사 (권혁주 한국행정연구원 원장)21:02 환영사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25:02 발제 (김정해 한국행정연구원 행정혁신연구실장)1:03:50 종합토론#정부혁신 #행정혁신  #트럼프정부 #트럼프행정개혁 #국제행정환경 #행정개혁전략 #행정안전부 #행안부 #한국행정연구원 

1376

2024-12-24

행정안전부

[포럼] 24년 제6차 정부혁신 미래전략 포럼 - 정부혁신을 위한 공공부문 AI 활용 방안

■ 주제: 정부혁신을 위한 공공부문 AI 활용 방안■ 일시: 2024.11.14.(목)■ 공동주최: 행정안전부, 한국행정연구원■ 발제(1) 정부혁신을 위한 공공부문 AI 도입 추진 사례와 거버넌스 (조세현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2) 인공지능 전환(AX) 시대의 정부혁신 과제와 추진방향 (정부만 디지털플랫폼정부 본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04:41 개회사 (권혁주 한국행정연구원 원장)08:33 환영사 (황명석 행정안전부 정부혁신국장)11:58 축사 (정경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부원장)16:24 발제1 (조세현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49:47 발제2 (정부만 디지털플랫폼정부 본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1:03:20 종합토론#정부혁신 #행정혁신 #AI #인공지능 #공공부문AI #AX #행정안전부 #행안부 #한국행정연구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

2027

2024-12-16

행정안전부

[포럼] 24년 제5차 정부혁신 미래전략 포럼 - 청년의 삶과 성장을 위한 지역혁신 방안

■ 주제: 청년의 삶과 성장을 위한 지역혁신 방안■ 일시: 2024.9.26.(목)■ 공동주최: 행정안전부, 한국행정연구원■ 발제(1) 청년이 추구하는 삶과 정책 방향 (정세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2) 청년이 만드는 지역 : 청년친화도시 (주현호 소셜벤처 콰타드림랩 대표)(3) 청년이 살고 싶은 지역 만들기 (정형구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05:22 개회사 (이종한 한국행정연구원 부원장)09:12 축사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12:18 발제1 (정세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29:34 발제2 (추현호 소셜벤처 콰타드림랩 대표)36:30 발제3 (정형구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52:19 종합토론#정부혁신 #행정혁신 #청년인구정착 #좋은일자리 #청년미래성장#행정안전부 #한국행정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소셜벤처콰타드림랩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1281

2024-12-11

행정안전부

발간자료 (209건)

[사례집] 2024년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집

<2024년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집>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를 모은 사례집입니다.  - ▲교통안전, ▲공공행정, ▲재난안전, ▲산업경제, ▲보건의료 5개 분야 17개 사례 수록  - 각 분야 담당자가 실무에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과제 추진 배경부터 데이터 수집·분석·활용 전 과정 세부 기술

962

2025-03

행정안전부

[사례집] 2024 빈집정비 활용사레집

<제목> 2024 빈집정비 활용사례집<발간> 행정안전부<목차>Chapter 1. 우수사례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 후평동 「살롱」 프로젝트 6춘천시 교동 마을 창작 공작소 및 쌈지 공원·주차장 조성 8춘천시 약사명동 오르락 내리락 마주치는 공유·공생·공감 약사리 문화마을 프로젝트 10경기도동두천시 생연동 다함께돌봄센터 건립으로 원도심 활성화 12경상남도남해군 남해읍 한옥 재생 청년센터 바라, 떡공장 재생 청년학교 다랑 14산청군 산청읍 산청별곡, 산청에 살으리랏다 18산앤청 청년 베이스캠프 조성사업 24합천군 빈집의 재탄생! 빈집 활용 나눔주택 28경상북도경산시 서상동 서상길 청년문화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30부산광역시사상구 괘법동 빈집을 한평치유텃밭으로 조성하다 32사하구 괴정동 마을 속 작은 공원 조성 34영도구 봉래동 빈집 없는 봉산마을 프로젝트 36서울특별시강북구 삼양동 삼양동 복합커뮤니티시설 38인천광역시남동구 긴급임시거소 조성 및 활용 사업 40전라남도강진군 지방소멸 위기극복 빈집리모델링 지원 사업 42해남군 민관협력 농촌빈집 재생프로젝트 44전북특별자치도진안군 진안읍 귀농귀촌인들을 위한 디딤돌이 되어주는 귀농인의 집 46진안군 마령면 ‘희망하우스’ 빈집재생사업 48충청북도보은군 보은군 빈집개량 지원사업 50증평군 도안면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52진천군 진천형 해비타트 프로젝트 54Chapter 2. 단순 활용사례

989

2025-03

행정안전부

[리포트] 공공혁신 리포트 2024

<제목> 공공혁신 리포트카카오 서비스를 활용한 공공혁신 사례<발간> 카카오그룹<목차>01 Highlights p.302 '행정 불편 해소' 위한 카카오 서비스 활용 p.503 ‘예산 절감’위한 카카오 서비스 활용 p.904 ‘행정 효율성 증대’위한 카카오 서비스 활용 p.13 05 카카오 그룹과 '협력' p.1806 마치며 p.2407 공공혁신 사례에 관한 전문가 평가 p.2708 참고자료 p.30<출처>https://www.kakaocorp.com/page/responsible/detail/socialValue

1637

2025-01

카카오그룹

[사례집] 2024년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사례집

■ 제목일·출생·육아가 함께하는 조화로운 일터2024년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사례집■ 발행처 : 고용노동부, 노사발전재단■ 목차㈜그레이드헬스체인 _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정보통신업) ································· 12인재 확보에 유연한 근무환경만큼 강력한 조건은 없습니다극동에너지㈜ _ 배관 및 냉·난방장치 도매업 ··············································································· 16회사의 가장 큰 자산은 직원, 유연한 근무환경이 행복한 직원들을 만든다㈜뉴라이즌 _ 필터 및 기체여과기 제조업 ······················································································ 20과연 주 4일제가 가능하냐고요? 우리가 결과로 증명합니다라온시큐어㈜ _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24파격적이고 유연한 근무환경으로 누구나 일하고 싶은 워라밸 기업을 꿈꿉니다라인플러스㈜ _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정보서비스업) ···················································· 28언제 어디서든 효율적으로 일하기, 탄탄한 일·생활 균형 제도 덕분이죠㈜레인보우커뮤니케이션 _ 광고대행업 ···················································································· 32더 나은 일터를 위한 끝없는 도전, 직원 중간평가로 더 탄탄해지는 근무환경롯데웰푸드㈜ _ 과자류 및 코코아제품 제조업 ············································································· 36구성원의 워라밸에 진심인 회사, 근무환경의 혁신은 계속된다번개장터㈜ _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40자율·창의적인 근무환경으로 ‘워라밸이 좋은 회사’로 통해요㈜씨넷 _ 제조업 ····································································································································· 44일·생활 균형으로 매출과 성장 두 마리 토끼를 잡았어요㈜씨제이제일제당 _ 전분제품 및 당류제조업 ··········································································· 48유연하고 혁신적인 근무환경으로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 만들기㈜아이와즈 _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52‘가족’의 마음으로 이해하고 소통할 때 행복한 워라밸이 만들어집니다에스케이브로드밴드㈜ _ 유선통신업 ························································································· 56Be Balanced, SK브로드밴드! 일·생활 균형으로 행복을 키우다HD현대마린솔루션㈜ _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60한발 앞선 선진적인 근무환경으로 직원 행복과 기업경쟁력 다 잡았다㈜유브레인커뮤니케이션즈 _ 광고대행업 ··············································································· 64시차출퇴근제에서 워케이션까지 자유로운 근무환경으로 창의력 쑥쑥이에이트 주식회사 _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68직장인 누구나 꿈꾸는 완벽한 워라밸, 이보다 더 유연한 회사는 없다㈜인컴즈 _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서비스업 ································································· 72꼭 필요한 제도만 꼼꼼하게! 일·생활 균형으로 ‘인컴즈’다운 직장만들기제이엔티㈜ _ 건축자재 제조업 ·········································································································· 76법정-자체 제도 콜라보레이션으로 직원 중심의 근무환경을 완성하다㈜지오시스템리서치 _ 환경 관련 엔지니어링서비스업 ··························································· 80선도적인 과학기술기업으로의 성장,유연한 근무환경이어서 가능했죠㈜코웍스 _ 교육서비스업 및 시설운영관리업 ················································································ 84잘 되는 기업이요? 직원들이 행복한 기업입니다㈜태조엔지니어링 _ 건물 및 토목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88‘남초’ 회사에 분 조직문화 혁신의 바람, 건설업계의 새로운 기준이 되다㈜토마스 _ 통신, 방송장비 및 부품도매업 ······················································································ 92육아휴직 후 복직률 100% 내 집처럼 편안한 일터라서 가능하죠㈜폴라리스오피스 _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 96튼살 크림까지 챙겨주는 회사 보셨나요? 가족 같은 배려에 근무만족도 최상㈜한독 _ 의약품 제조업 ···················································································································· 100일과 삶의 균형으로 더 큰 성과 창출, 회사와 직원이 함께 성장합니다㈜휴롬 _ 가정용 전기기기 제조업 ·································································································· 104직원의 삶과 행복부터 케어하기, 글로벌 건강기업의 의무 아닐까요?휴젤㈜ _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108근로자의 삶과 가족 중심의 기업문화로 성장과 혁신을 이어갑니다㈜건우솔루션 / ㈜건우애듀 / ㈜글로랑 / 기아㈜ ······································································ 114나은요양병원 / ㈜넥스트칩 / ㈜누림소프트 / ㈜니트머스 ······················································ 115㈜다이렉트클라우드랩 / ㈜대교 / ㈜더마펌 / ㈜덱스터크레마 ············································· 116㈜동방엔지니어링 / 동아에스티㈜ / 디엑스앤브이엑스㈜ / 라온구조안전기술㈜ ········· 117㈜라파스 / 레고랜드코리아(유) / ㈜레드브릭스 / ㈜레드소프트 ········································ 118로크웰오토메이션코리아㈜ / 롯데글로벌로지스㈜ / 루트인프라금융㈜ / 리서리스테라퓨틱스㈜ ········ 119㈜리얼게인 / ㈜링키지랩 / ㈜메일플러그 / ㈜모비 ································································· 120㈜모션 / 몬드리안에이아이㈜ / 미래에셋증권㈜ / 베이직스㈜ ············································ 121㈜비상교육 / ㈜비에이에너지 / (사)한국문화산업협회 / ㈜사이버다임 ···························· 122삼일회계법인 / ㈜삼정오토메이션 / ㈜샌드박스네트워크 / 서비스에이스㈜ ·················· 123㈜선영종합엔지니어링 / 성보화학㈜ / 소니메디 / ㈜소프트보울 ········································ 124㈜슈퍼브에이아이 / ㈜스마일게이트알피지 / ㈜스마일랩 / ㈜스칼라웍스 ······················ 125스콜라스㈜ / ㈜시큐아이 / ㈜신세계아이앤씨 / ㈜신세계인터내셔날 ······························· 126㈜신세계푸드 / ㈜신아티앤씨 / ㈜씨디에스 / ㈜씨엔알리서치 ············································ 127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 ㈜씨제이텔레닉스 / ㈜아이브릭스 / 아주약품㈜ ·················· 128아토리서치㈜ / ㈜알라딘시스템 / ㈜알로카도스 / 알비에치㈜ ············································ 129㈜앤드와이즈 / 어썸엔터테인먼트㈜ / ㈜에스아이아이에스 / ㈜에스에스지닷컴 ········ 130에스엘엘중앙㈜ / ㈜에스엠엘메디트리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이노베이션㈜ ·········· 131에스케이티엔에스㈜ / 에스 포항병원 / ㈜에오스 / ㈜에이더 ············································· 132㈜에이블런 / ㈜에이텐시스템 / 에이티알㈜ / ㈜에이프리카 ················································ 133㈜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엔카닷컴㈜ / ㈜엔키아 / ㈜엘루오씨앤씨 ··································· 134엘비휴넷㈜ / 엠이엠씨코리아㈜ / ㈜영사이언스 / ㈜예지솔루션 ········································ 135㈜오내피플 / 오션스바이오㈜ / ㈜오션정보기술 / 오직㈜ ···················································· 136㈜오토닉스 / 온세미컨덕터코리아㈜ / 와디즈㈜ / ㈜와이에스생명과학 ··························· 137㈜와일리 / ㈜우리강산시스템 / ㈜우리기술 / ㈜웅진씽크빅 ··············································· 138㈜웨어밸리 / ㈜웹젠노바 / 위더맥스㈜ / 위더스㈜ ·································································· 139㈜위더스애드 / ㈜위존 / ㈜유니아이 / ㈜유니오텍 ································································· 140(유)일루미나리안 / 의료법인 구암의료재단 / 의료법인 삼광의료재단 / ㈜이노그리드 ············ 141㈜이바이오젠 / ㈜이스트소프트 / ㈜이스트시큐리티 / 이엘씨에이한국(유) ·················· 142㈜이엠스타 / 이유 사회적협동조합 / 이피에스인터내셔널코리아㈜ / 인스피언㈜ ····· 143㈜인젠트 / 인테이크㈜ / 인포그랩(유) / ㈜정도유아이티 ····················································· 144㈜정석케미칼 / ㈜제네웰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 ㈜지먼트 ·········································· 145㈜지오그린21 / ㈜지오멕스소프트 / ㈜지오비전 / ㈜직스테크놀로지 ····························· 146㈜카카오게임즈 / ㈜카카오뱅크 / ㈜케이옥션 / ㈜케이티알파 ············································ 147㈜코아아이티 / 코코네엠㈜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코리아㈜ / ㈜큐에스 ······················· 148㈜테이슨 / 테크빌교육㈜ / 텔레픽스㈜ / ㈜툰잉 ······································································ 149㈜티빙 / ㈜티솔루션즈 / 티에스엔랩㈜ / ㈜파두 ····································································· 150㈜파마리서치 / ㈜패스트레인 / ㈜퍼포먼스바이TBWA / 페더럴익스프레스코리아(유) ········· 151㈜푸드엔 / 푸본현대생명㈜ / 풍림무약㈜ / ㈜프리미어플랜 ················································· 152㈜플래티넘브릿지 / ㈜피앤씨솔루션 / 피에스앤마케팅㈜ / ㈜핀다 ···································· 153㈜한국리서치 / ㈜한국안전기술원 / 한국오노약품공업㈜ / 한국캘러웨이골프(유) ·················· 154한국항공우주산업㈜ / 한국화이자제약㈜ / 한국휴렛팩커드(유) / 한덕화학㈜ ·············· 155한미정밀화학㈜ / 한화손해사정㈜ / ㈜현대디에프 / ㈜현대이지웰 ···································· 156㈜휴넷 / ㈜휴메딕스 / ㈜휴온스 / ㈜휴이노 ··············································································· 157CJ CGV㈜ / ㈜YH데이타베이스 ······························································································· 158

540

2024-12

고용노동부ㆍ노사발전재단

[사례집] 2024 민원제도 개선 우수사례집

■ 제목 : 2024 민원제도 개선 우수사레집■ 발간 : 행정안전부■ 목차민생문제 해결 및 민원제도 개선1. 국립농업과학원 | 노동력 부족, 이제 로봇이 대체한다!(금상) 42. 광주광역시 | 1년만에 1만 4천명을 구해 내다! 누구나 ‘광주다움 통합돌봄’(금상) 123. 한국전력공사 | AI기반 전력·통신·수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독사 예방 서비스 제공(금상) 224. 법무부 | ‘스토커 접근정보 피해자 알림시스템’ 개발(은상) 305. 기상청 |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을 살리는 알람, 호우 긴급재난문자(동상) 386. 국립농업과학원 | 버려지는 폐비닐, 인삼지주대로 재탄생!(동상) 467. 경상남도 거창군 | 필리핀 근로자 울린 ‘미스터 김’, 외국인 계절근로자 브로커 차단!(동상) 548. 부산 교통공사 | 대중교통 최초 승차권 현금영수증 자동화 발급 시스템 개발(동상) 62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선9. 행정안전부 | 국민의 시간과 비용을 아끼는 구비서류 제로화(금상) 6810. 주택도시보증공사 | 떼인 내 전세금 돌려받을 땐? 모바일로 신청은 손쉽게! 심사는 빠르게! (금상 ) 7611. 한국보건의료 정보원 | 내 손안의 디지털 건강정보로 내 건강은 Up!! 의료비는 Down!!(은상) 8412. 행정안전부 | 인감증명제도 혁신, 시간과 비용을 줄여 국민의 편익 제고(동상) 9213. 경상북도 | 출동통계와 병상 정보를 ‘한눈에’. “골든타임을 잡아라”(동상) 9814. 한국환경공단 | 고민하지 마세요~ 폐가전 맞춤형 디지털 무상수거 서비스 (동상) 10415. 서울교통공사 | 세계 최초 교통약자와 동행을 위한 모바일 지하철 안내 서비스 (동상) 112

772

2024-12

행정안전부

Translated Civil Forms for Foreigners (3-3)

List of Translated Civil Forms 

929

2024-12

행정안전부

국제협력 자료 (9건)

[발행물] 2024 정부혁신 글로벌 트렌드(OECD)

OECD가 발표한 2024 정부혁신 글로벌 트렌드 보고서를 공유합니다.보고서는 5가지 핵심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중 2개의 트렌드와 관련해 우수사례로 한국을 소개하였습니다.■ 출처 : https://www.oecd.org/en/publications/global-trends-in-government-innovation-2024_c1bc19c3-en.html■ 발행기관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내용 ※ ChatGPT를 활용한 요약 및 번역이므로, 정확한 내용은 상기 링크의 원문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OECD가 발표한 2024 정부혁신 글로벌 트렌드 보고서는 전 세계 83개국의 약 800개 사례를 분석하여 정부 혁신의 주요 흐름을 도출했다. 이 보고서는 시민 중심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공공서비스 혁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다루며, 다음과 같은 5가지 핵심 트렌드를 제시한다.1. 미래지향적이고 공동 창출(Co-creation)된 공공서비스정부는 시민 및 이해관계자와 협력하여 서비스를 설계하고, 미래의 요구를 예측하여 유연하고 지속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예: 노르웨이의 New in Norway 프로그램은 이민자들이 공공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2. 디지털 및 혁신 기반의 효율적인 공공서비스AI, 자동화, 모듈형 코드 등의 신기술을 활용해 공공서비스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공공 부문 내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예1: 이탈리아는 AI를 활용하여 시민 요청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공공서비스의 처리 속도를 향상​예2: 한국은 AI 기반 ‘K-VoM(한국 음성 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보이스피싱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 기술은 130개 범죄 조직을 적발하고, 51건의 체포로 이어지는 등 공공안전 강화에 기여​3. 개인 맞춤형 및 선제적 공공서비스행정 절차의 복잡성을 줄이고, 소외 계층을 포함한 모든 시민이 보다 쉽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예: 미국은 자연재해 피해자들에게 개별적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여 재난 대응 서비스를 개선​4. 데이터 기반 공공서비스정부는 전통적 및 비전통적 데이터 소스를 활용해 공공서비스의 기획 및 실행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실험적 접근 방식을 통해 복잡한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예1: 한국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여 도시 이동성을 개선하는 스마트 교통 시스템을 도입했다.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통 혼잡을 줄이고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있다​예2: 싱가포르는 ‘Virtual Singapore’라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홍수 위험 지역을 예측하고, 도시 계획 및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5. 시민 참여를 강화하는 공공서비스공공서비스를 단순한 행정 처리의 장이 아닌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정부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있다.예: 프랑스는 공공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서비스 품질 향상을 도모​결론 및 시사점이 보고서는 공공서비스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보다 포용적이고 유연하며 시민 참여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데이터 활용과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정부 혁신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시민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공공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 신뢰와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임을 시사한다.이번 보고서는 정부가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혁신을 지속해야 하며, OECD의 *인간 중심 행정 서비스 권고안(Recommendation on Human-Centred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의 원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거버넌스 #사회 #디지털 #디지털정부 #디지털전환 #정부혁신 #디지털및혁신적공공서비스 #행동과학 

634

2025-01-31

행정안전부

[보고서] 정부혁신 국제동향 브리핑 5호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공공행정 혁신>

정부혁신 국제동향 브리핑 5호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 공공행정 혁신> 입니다.이번호는 공공혁신을 주제로 국제적 환경과 동향, 성공적인 혁신 요건에 대한 OECD의 제언, 주요 국가사례를 정리해 공유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게시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928

2024-08-05

행정안전부

[보고서] 정부혁신 국제동향 브리핑 4호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OECD 인구구조 변화>

정부혁신 국제동향 브리핑 4호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 OECD 인구구조 변화>입니다.이번호는 인구감소를 주제로한 OECD 인구구조 변화 현황 및 대응 동향, 주요 해외사례 등을 정리해 공유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게시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455

2024-04-01

행정안전부

Open Government for Stronger Democracies(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열린정부, OECD) 보고서 국문 번역본

OECD에서 발간한 「Open Government for Stronger Democracies(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열린정부)」 보고서를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 에서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원문 자료(클릭시 이동)

1364

2024-03-18

행정안전부

OECD 공공혁신협의체(OPSI) 발간 「국경을 초월하는 정부혁신(Cross-Border Government Innovation) 보고서」 1~3권 국문 번역본

OECD 공공혁신협의체(OPSI)*에서 발간한 「국경을 초월하는 정부혁신(Cross-Border Government Innovation) 보고서」1~3권을 OECD 대한민국 정책센터에서에서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OECD 공공혁신협의체(Observatory of Public Sector Innovation)란?  OECD 회원국(33)과 비회원국(7)의 공공부문 혁신을 지원하고 경험 공유의 장을 만들기 위해 2013년 출범한 공공행정위원회(PGC) 산하 협의체제1권 국경을 초월한 도전과제의 관리(2021.10.)목차 : ① 국경을 초월한 거버넌스 기구의 구축          ② 국경을 초월한 협업을 위한 혁신적 네트워크          ③ 새로운 거버넌스 시스템 역학의 탐색제2권 통찰의 표면화 및 국경을 초월한 실험(2021.11.)목차 : ① 상향식 통찰과 집단지성의 표면화          ② 국경을 초월한 실험과 테스트제3권 국경을 초월한 효과적인 협력 솔루션의 제공 및 촉진(2022.3.)목차 : ① 공동의 국경을 초월한 정책 실행 및 솔루션 중심의 서비스 실현           ② 디지털 아키텍처로 구현되는 국경을 초월한 혁신           ③ 국경을 초월한 협력을 고려한 업스킬링 및 역량 구축※ 원문자료: 제1권, 제2권, 제3권 (클릭시 해당 원문으로 이동)

2119

2023-01-27

행정안전부

[보고서] 정부혁신 국제동향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열린정부편> 2022년 겨울호

정부혁신 국제동향 <정부혁신, 세계를 만나다 - 열린정부편>입니다.이번호는 열린정부(Open Government)를 주제로 열린정부 배경과 주요 내용, 우리나라의 열린정부 활동, 주요 해외사례 등을 정리해 공유합니다.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게시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793

2022-12-31

행정안전부

열린정부파트너십 자료 (43건)

제4기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개최

제4기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4.12.20., 대면) 자료를 공유합니다.

375

2024-12-30

행정안전부

세계열린정부주간(Open Governmnet Week) 민관합동 국제포럼 개최 안내

세계열린정부주간(5.27.~5.31.) 민관합동 국제포럼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장소: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2층 디자인랩 서울-온 화상스튜디오★ 온/오프라인 참석등록하기(클릭 시 이동)  

1442

2024-05-20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기획분과회의 개최(5.1.)

제4기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기획분과회의(5.1., 영상) 개최 계획 및 결과를 첨부와 같이 공유합니다.

976

2024-05-20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분과회의 개최(4.8.,4.9.,4.11.)

제4기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분과회의(4.8., 4.9., 4.11., 영상) 계획 및 결과를 첨부와 같이 공유합니다.

1161

2024-05-20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분과회의 개최(3.6.~3.7.)

제4기 대한민국 열린정부위원회 분과회의(3.6.~7., 대면) 자료 및 결과를 첨부와 같이 공유합니다.○ 일정 및 장소  일시  분과명  참석 기관   회의실  3.6. (수) 14:00~15:00 디지털 분과  행안부, 권익위, 과기부 서울역 스마트워크센터 (통일)   3.7. (목) 10:00~10:50 반부패 분과 권익위   서울역 스마트워크센터 (통일)  10:00~11:20 국민참여 분과  행안부, 인권위, 문체부, 방통위  서울역 스마트워크센터 (무궁화)  ○ 논의 내용   - (안건1) 분과위원장, 분과간사 선출   - (안건2) 제6차 열린정부 실행계획 과제 설명   - (안건3) 세계열린정부주간 민관합동행사 기획 논의○ 논의 결과   - (안건1) 분과위원장, 분과간사 선출   분과위원장 분과간사  디지털 분과 이준수 장요한 반부패 분과  이수영 이선중 국민참여 분과정회경이현성    ※ 안건2, 안건3에 대한 논의 결과는 분과회의 결과 붙임자료를 참고해 주십시오.

1125

2024-03-11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 자료 (37건)

AI.GOV 해외동향 2025-1호

■ 출처 : https://bit.ly/4iZzR0N■ 발행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일 : 2025년 3월■ 목차해외 AI 에이전트 기술 및 서비스 개발 동향LLM을 보완하는 RAG 2.0 기술 현황정부의 적극적 AI 활용 정책과 반향 : 미국 및 영국 사례주요국 AI 인프라 투자 경쟁 가속화[OECD 최신 보고서] AI의 미래: 예견적 거버넌스 전략■ 문의 및 제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플랫폼정부본부 정책기획팀 장우림 책임(woolim@nia.or.kr), 조원선 선임(wscho@nia.or.kr)「AI.GOV 해외동향」은 해외 주요국의 인공지능 정책 및 산업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기획·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본 보고서의 내용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내부 검수 과정을 거쳐 보완하였으나, 수록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참고문헌을 통한 원문 확인을 권고합니다.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사전 승인 없이 본 보고서의 무단전재나 복제를 금하며, 가공·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본 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으며, 문의 및 제안은 상기 연락처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2930

2025-03-2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보고서] 2024년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

■ 출처 : https://url.kr/zt3mc2■ 발행처 :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일 : 2024년 12월■ 주요내용1. 조사개요  ㅇ 조사목적: 국민의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 전반을 조사·분석하여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수준과 인식변화 추이 등 파악   ㅇ 조사기간: 2024년 8월 16일 ~ 9월 30일  ㅇ 모집단: 대한민국 내 만 16세~74세 전체 국민  ㅇ 조사대상: 전국 4,000가구 내 만 16세~74세 가구원     ㅇ 조사방법: 태블릿 PC를 이용한 가구방문 면접조사  ※ 관련근거 : 전자정부법 제22조, 통계법 제18조(국가승인통계 제110029호, ’12.10월 지정)2. 조사결과  ㅇ 전자정부서비스 인지도: 98.5%  ㅇ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률: 92.0%  ㅇ 전자정부서비스 만족도: 97.6%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127

2025-02-11

행정안전부ㆍ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D.gov 이슈분석 2024-5호 : 구비서류 제로화를 위한 민간부문 제출서류 현황 분석과 제언

■ 출처 : https://bit.ly/4aHAVTi■ 발행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일 : 2025년 1월■ 목차  Ⅰ. 배경 및 필요성       Ⅱ. 구비서류 제로화     1. 행정정보 공동이용   2. 전자증명서   3. 공공 마이데이터  Ⅲ. 민간부문 증명서류 제출 요구 실태  Ⅳ. 시사점 및 정책제언■ 문의 및 제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플랫폼정부본부 정책기획팀 이수인 책임(silee@nia.or.kr)

7689

2025-01-3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D.gov 이슈분석 2024-4호 : 해외 주요국의 외국인 대상 디지털정부서비스 제공 현황과 시사점

■ 출처 : https://bit.ly/4hhxkOz■ 발행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일 : 2025년 1월■ 목차  Ⅰ. 배경 및 필요성       Ⅱ. 해외 주요국의 외국인 대상 디지털정부서비스 제공 현황     1. 개요    2. 해외 다자털서비스 사례 분석(미국, 캐나다, 영국, 에스토니아 등)  Ⅲ. 결론 및 시사점■ 문의 및 제안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플랫폼정부본부 정책기획팀 박세현 선임(sehyunp@nia.or.kr), 박슬기 선임(psk64@nia.or.kr)

8047

2025-01-3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D.gov 이슈분석 2024-3호 : 지방자치단체의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현황 분석과 정책방향

■ 출처 : https://bit.ly/40DVmfp■ 발행인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일 : 2025년 1월■ 목차  Ⅰ. 서  론       Ⅱ. ICT 주요 통계 현황     Ⅲ.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Ⅳ.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전망 분석    Ⅴ. 함의 및 주요 정책 방향■ 문의 및 제안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플랫폼정부본부 정책기획팀 이용건 수석(woojae@nia.or.kr)

8520

2025-01-3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로 여는 좋은 세상 : D.gov 해외동향 2024-6호

■ 출처 : https://url.kr/bmkvi4■ 발행 : 2024년 12월■ 목차[Issue]KPMG, 공공부문 디지털 혁신에 대한 진전 및 계획 관련 설문조사 연구 보고서 발표EU, 유럽 디지털 권리 및 원칙에 대한 연례 분석 보고서 발표IBM, 정부기관의 생성형 인공지능 구현에 관한 과제 및 기회를 다룬 보고서 발표구글 클라우드, 생성형 인공지능이 영국 공공부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 발표[News]미국 정부,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 정부효율부 및 AI·크립토 차르UN, 공공부문 디지털화 확산을 위한 지역 워크숍 추진싱가포르, EU와 인공지능 안전에 대한 협력 강화베트남 정부의 국가 디지털화 전략캐나다 정부, '캐나다 AI 안전 연구소(CAISI)' 출범미국, '디지털 정부 센터(CDG) 연례 설문조사 2024' 발표영국 정부의 인공지능 서비스 도입 사례멕시코 푸에블라 주, 멕시코 정부 최초의 디지털 정부 서비스 출시폴란드, 공공행정에서의 인공지능 현황 및 사레 발표[기획 및 문의]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미래전략팀 이석형 선임연구원(053-230-1285, lesh@nia.or.kr)

10239

2025-01-0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